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Special Contribution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Vol. 59, No. 1, pp.193-202
ISSN: 0435-4036 (Print) 2288-737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01 Mar 2023
Received 28 Nov 2022 Revised 15 Dec 2022 Accepted 19 Dec 2022
DOI: https://doi.org/10.14770/jgsk.2023.006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국제지질연대층서표) 한글판

이동찬1, ; 최덕근2 ; 기원서3
1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2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3한국지질자원연구원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Dong-Chan Lee1, ; Duck Keun Choi2 ; Weon-Seo Kee3
1Department of Earth Sciences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8644, Republic of Korea
2School of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ublic of Korea
3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34132,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82-43-261-2670, E-mail: dclee@chungbuk.ac.kr

초록

대한지질학회 지질과학용어위원회는 국제층서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에서 매년 발간하는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의 한글판을 “국제지질연대층서표”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은 번역 및 음역/음차 기준에 따라 발간한다. 1) “누대”와 “대”, 고생대와 중생대의 “기”, 신생대의 “세”에 해당하는 지질시대 이름은 현재 사용되는 한글 표기법을 그대로 유지한다. 2) 나머지 지질시대명은 어원의 의미를 해석하여 표기하거나,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4호, “외래어 표기법”을 참조하여 어원을 음차하여 표기한다. 국제지질연대층서표의 지질시대는 지질연대단위로 표기한다.

Abstract

The Committee for Geological Science Terminology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publishes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names of geologic times of “Eon/Eonothem” and “Era/Erathem”, “Period/System” of the Paleozoic and Mesozoic, “Epoch/Series” of the Cenozoic are noted as they are currently translated and transcribed; 2) other geologic times are noted by translating the meaning of their word origin or by transcribing them referring to “Foreign language notation rules (notice no. 2017-14)” pu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geologic times are noted using geochronologic units.

Keywords: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Korean version

키워드:

국제층서위원회, 국제지질연대층서표, 한글판

1. 서 론

국제층서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ICS)는 약 46억 년 지구의 역사를 여러 지질시대로 구분한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ICC; Cohen et al., 2013, updated); 그림 1)를 매년 발간한다. ICC는 암석 기록을 바탕으로 지구의 역사를 기술하는 세계 공통 표준이다. 역사학자들이 우리나라의 역사를 왕조의 변화에 따라 구분하여 기술하는 것처럼 지질학자들은 지구의 역사를 고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사건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그림 2). 상대적으로 화석 기록이 적은 선캄브리아시대는 수치연령이나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사건을 기준으로 지질시대를 구분하고 있다.

Fig. 1.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v 2022/10 (Cohen et al., 2013, updated).

Fig. 2.

(a) Chronicle of Korean history expressed as a clock; (b) Geologic time scale expressed as a clock.

ICC에 영어로 표기된 지질시대 중 하나 이상의 한글로 표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Ordovician은 “오오도비스” 혹은 “오르도비스”로, Jurassic은 “쥐라” 혹은 “쥬라”로 표기되고 있다. 대한지질학회 지질과학용어위원회는 영어로 발간된 ICC의 한글판을 제작하여 지구 역사를 기술할 때 표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글 지질시대 이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2. 다른 언어 번역본의 특징

2022년 10월 현재 ICC는 23개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https://stratigraphy.org/chart). 한글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국어와 일본어 그리고 인도-유럽어권의 대표적인 독일어와 프랑스어 번역본의 특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2.1 중국어

중국어 번역본의 제목은 “国际年代地层表(국제연대지층표)”이며 시간층서단위를 사용하여 표기하였고(예: 古生界), 기/계 단위 이상의 지질시대는 어원을 음역하거나(예: Ordovician ⇨ 奥陶(Àotáo)), 의미를 번역하였다(예: Triassic ⇨ 三叠). 세/통, 절/조 단위의 지질시대는 중국어 기원의 이름을 제외하곤(예: Jiangshan ⇨ 江山), 어원을 음역하거나(예: Tremadocian ⇨ 马豆克(발음: Tèmǎdòukè)), 의미를 번역하였다(예: Fortunian ⇨ 幸运). 지질시대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하부(Lower), 중부(Middle), 상부(Upper)의 경우, “下”, “中”, “上”을 접두어로 사용하였다(예: Lower Ordovician ⇨ 下奥陶).

2.2 일본어

일본어 번역본의 제목은 “国際年代層序表(국제연대층서표)”이며 기/계 단위의 지질시대에는 시간층서단위와 지질연대단위를 모두 사용하여 표기하였고(예: 古生界/代), 세/통, 절/조 단위의 지질시대는 영어의 어미를 포함하여 음차하고 단위를 붙이지 않았다(예: Tremadocian ⇨ トレマドキアン(발음: Toremadokian)). 하부, 중부, 상부의 경우, 시간층서단위와 지질연대단위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표기하였다(예: 下部/前期).

2.3 독일어

독일어 번역본의 제목은 “Internationale Chronostratigraphische Tabelle”이며, ICC 원본과 같이 층서단위를 표기하지 않았고, 기/계 단위의 지질시대는 어원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예: Devon, Silur, Trias, Jura, Kreide 등), 세/통 단위의 지질시대는 어미를 독일어화하여 표기하였다(예: Tremadocian ⇨ Tremadocium). 하부, 중부, 상부의 경우, 접두어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예: Lower Triassic ⇨ Untertrias, Upper Ordovician ⇨ Oberordovizium).

2.4 프랑스어

프랑스어 번역본의 제목은 “Charte Chronostratigraphique Internationale”이며, ICC 원본과 같이 층서단위를 표기하지 않았고, 기/계, 세/통, 절/조 단위의 지질시대는 어원을 그대로 표기하거나(예: Triassic ⇨ Trias), 어미를 프랑스어화하여 표기하였다(예: Devonian ⇨ Dévonein, Tremadocian ⇨ Tremadocien). 하부, 중부, 상부의 경우, 형용사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예: Lower ⇨ Inférieur, Middle ⇨ Moyen, Upper ⇨ Supérieur).


3. ICC 한글판 번역 및 음역/음차 기준

영어로 표기된 ICC의 지질시대명은 명사와 형용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during the Ordovician”에서 Ordovician은 명사로, “from the Ordovician rocks”에서 Ordovician은 형용사이다. 반면 우리말에서는 지질시대명에 층서단위를 붙여 명사 혹은 형용사로 사용하고 있다. “during the Ordovician”은 “오르도비스기 동안”으로, “from the Ordovician rocks”은 “오르도비스계 암석으로부터”로 번역한다. Ordovician을 “오르도비시안”으로 번역하지 않고 어원인 “Ordovices”를 “오르도비스”로 음차한 후 층서단위를 붙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말 사용 관례에 비추어 영어 지질시대 이름의 어원을 번역하거나 음역 혹은 음차하였다. ICC 한글판 제작을 위한 번역 및 음역/음차 기준은 다음과 같다. 표 1에 각 지질시대의 어원과 번역 및 음역/음차 기준을 기술하였다.

Etymology of geologic time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 and transliteration/transcription. In case that the etymology consists of two or more words, the word used for translation and transliteration/transcription is depicted in bold.

① 선캄브리아시대의 누대와 대, 현생누대의 기, 신생대의 세는 현재 사용되는 표기(예: 중등교육과정 교과서(Lee et al., 2019)를 그대로 사용하였다(예: Cambrian ⇨ 캄브리아, Ordovician ⇨ 오르도비스, Cretaceous ⇨ 백악, Miocene ⇨ 마이오 등).

② 어원이 지질학적 현상을 나타내는 고대 그리스어인 경우, 그 의미를 해석하여 표기하였다(예: Hadean ⇨ 명왕(冥王)).

③ 시간의 선후를 나타내는 고대 그리스어가 접두어로 사용된 경우, 그 의미를 해석하여 표기하였다(예: Neoarchean ⇨ 신시생(新始生), Eoarchean ⇨ 초시생(初始生), Paleoproterozoic ⇨ 고원생(古原生) 등).

④ 어원이 지질학적 현상을 나타내는 고대 그리스어인 경우, 로마자 표기법으로 바꾼 후 음차하여 표기하였다(예: Cryogenian(어원: Krýos+géne) ⇨ 크리오스진, Orosirian(어원: Oroseirá) ⇨ 오로세이라, Siderian(어원: Sídēros) ⇨ 시데로스 등).

⑤ 어원의 의미를 번역하여 표기했을 때 기존 지질시대명과 혼동이 생길 경우, 어원을 음차한 후 유사한 의미의 한자로 표기하였다(예: Paleogene ⇨ 고진(進)기, Neogene ⇨ 신진(進)기).

⑥ 어원이 고유명사(예: 지명/부족명 혹은 지명/부족명의 라틴어 혹은 고대 그리스어 어원)인 경우, 해당 고유명사가 유래된 지역에서 사용하는 발음을 “외래어 표기법”(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4호)을 참조하여 음차한 후 표기하였다. 다음은 자주 사용한 음차 기준이다.

⑥-1. “θ”로 발음되는 “th”는 “ㅅ”이 아니라 “ㅌ”으로 표기하였다(예: Tithonian(어원: Tithonus) ⇨ 티토누스, Bathonian(어원: Bathonium) ⇨ 바토니움 등).

⑥-2. 어원이 미국 고유명사인 경우, 첫 음절의 “a”는 “ㅐ”로 표기하였다(예: Capitan ⇨ 캐피탄 등).

⑥-3. 어원이 미국의 고유명사이고 “a”가 “ei”로 발음되는 경우, “ㅔ이”로 표기하였다(예: Katian ⇨ 케이티, Pennsylvania ⇨ 펜실베이니아 등).

⑥-4. 어원이 미국 이외 지역의 고유명사인 경우, “a”는 “ㅏ”로 표기하였다(예: Albian(어원: Alba) ⇨ 알바, Greenlandian ⇨ 그린란드, Calabrian ⇨ 칼라브리아 등).

⑥-5. 어원이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고유명사인 경우, 자음 앞 “r”은 묵음 처리하여 표기하였다(예: Fortunian ⇨ 포츈, Oxfordian ⇨ 옥스퍼드 등).

⑥-6. 어원이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 이외 지역의 고유명사인 경우, 영어로 음차된 자음 앞 “r”은 “르”로 표기하였다(예: Artinskian ⇨ 아르틴스크, Tournaisian ⇨ 투르네, Toarcian ⇨ 토아르시움 등).

⑥-7. 어원이 중국의 고유명사인 경우, 어원의 병음을 기준으로 성조를 고려하지 않고 표기하였다(예: Wuchiapingian(병음: Wujiaping) ⇨ 우지아핑, Lopingian(병음: Lèpíng) ⇨ 러핑, Jiangshanian(병음: Jiāngshān) ⇨ 지앙샨 등).

⑦ 이름이 정해지지 않아 수치로 표기된 지질시대 세/통, 절/조 단위 지질시대 이름 앞에는 “제-”를 접두어로 사용하였다.


4. Paleogene과 Neogene의 번역

1989년 국제층서위원회는 Tertiary(제3기)를 Paleogene과 Neogene으로 구분하면서 Tertiary를 공식적인 지질시대에서 제외하였다 (Cowie and Bassett, 1989). Paleogene과 Neogene은 고제3기/신제3기, 고근기/신근기, 고신기/신신기, 고신생기/신신생기, 팔레오기/네오기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어왔다.

고제3기/신제3기는 일본어판에서 사용한 표기로 제3기가 국제층서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제외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고근기(古近紀)/신근기(新近紀)는 중국어판에서 사용하는 표기로 Paleogene과 Neogene의 “-gene(국제음성기호: -dʒiːn)”의 발음을 음차한 후, 병음이 “jin”으로 동일하게 발음되며 “현재와 가깝다”는 의미의 “近”을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고신기/신신기와 고신생기/신신생기는 “신”이 반복되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며, 팔레오기/네오기는 “paleo-”와 “neo-”가 이미 오래되었다는 의미의 “고(古)”와 새롭다는 의미의 “신(新)”으로 다른 지질시대 이름 표기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gene”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γενεά으로 “to be born” 혹은 “to be produced”을 의미하여 “태어나다” 혹은 “생산하다”라는 뜻이다. 어원을 기준으로 고원(古源)기/신원(新源)기로 표기할 수 있지만 원생누대의 “원”을 연상시키는 점에서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ICC 한글판에서는 중국어 번역 방법을 적용하여 “-gene”의 한글 발음인 “진”으로 표기하고 “현재로 나아간다”는 의미로 풀이되는 한자인 “進”을 사용하여 고진(古進)기/신진(新進)기로 표기한다.


5. 국제지질연대층서표

ICC의 한글판에서는 국내 지질학자들에게 익숙한 지질연대단위만을 사용하였다.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는 “국제시간층서표”로 직역된다. 그러나 ICC 지질시대는 특정한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지질연대단위와 해당 시간 구간 동안 형성된 암석 기록을 나타내는 시간층서단위를 동시에 의미한다. ICC 한글판에서는 지질연대단위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지질연대단위만을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제지질연대/시간층서표”로 표기할 수 있지만, 같은 의미의 “연대”와 “시간”이 중복되기 때문에 “시간”을 생략하고 “국제지질연대층서표”로 표기한다. 지질시대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Lower, Middle, Upper는 지질연대단위인 전기, 중기, 후기로 표기하며 지질연대를 의미하면 “중기 오르도비스기”로 시간층서를 의미하면 “중부 오르도비스계”로 표기한다. 글꼴은 “맑은고딕”을 사용하였으며 지질시대를 표기할 공간이 세로로 긴 경우 “세로쓰기”를 적용하였다. 표 아래 번역본의 승인 주체를 명시하기 위해 “한글 번역과 음역은 대한지질학회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국제층서위원회의 권고사항에 따랐다. 각 지질시대는 지질연대단위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The Korean translation and transliteration have been approved by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GSK) and are in line with the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Geochronologic units are used for each geologic time.”이라는 문구와 대한지질학회 로고를 삽입하였다(그림 3).

Fig. 3.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6. 한글판 발간 경과 및 의견 수렴 과정

2021년 12월 5일, 대한지질학회 지질과학용어위원회는 국제층서위원회를 접촉하여 ICC의 한글판을 발간하여 국제층서위원회 홈페이지에 올리겠다는 의사를 전달하였다. 2021년 12월 5일, 국제층서위원회에서는 한글판 발간을 환영한다는 답변을 보내왔다. 2021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한글판 번역 및 음역/음차 기준을 마련하여 1차 초안을 제작하였다. 2022년 2월 7일, 한글판 1차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공지사항을 대한지질학회 홈페이지에 게재하였다. 2022년 8월 25일,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2차 초안을 완성하였다. 2022년 10월 26일,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에서 2차 초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여 최종 의견을 수렴하였으며(그림 4), 추가로 각 지질시대 전문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지질과학용어위원회는 수렴된 의견을 참조하여 최종 한글판을 제작하였다(그림 3).

Fig. 4.

Banner for the hearing held at October 26, 2022 during the Joint Fall Meeting of Korean Geological Societies.

Acknowledgments

ICC 한글판 발간에 노력해주신 대한지질학회 지질과학용어위원회 위원 김용철, 박정웅, 신진수, 이승배, 임충완, 최정헌, 최원학(가나다순)에게 감사드리며, 의견을 주신 대한지질학회 회원들에게도 감사드린다.

References

  • Cohen, K.M., Finney, S.C., Gibbard, P.L. and Fan, J.-X., 2013, The ICS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Episodes, 36, 199-204, updated. [https://doi.org/10.18814/epiiugs/2013/v36i3/002]
  • Cowie, J.W. and Bassett, M.G., 1989, IUGS 1989 Global Stratigraphic Chart with geochronometric and magnetostratigraphic calibration. Episodes, supplement.
  • Lee, T,W., Park, S.I., Kwon, S.M., Kim, W.S., Lee, Y.J., Lee, H.K., Jang, H.Y. and Kim, B.N., 2019, Earth Science II for High School. Kyohaksa, 303 p.

Fig. 1.

Fig. 1.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v 2022/10 (Cohen et al., 2013, updated).

Fig. 2.

Fig. 2.
(a) Chronicle of Korean history expressed as a clock; (b) Geologic time scale expressed as a clock.

Fig. 3.

Fig. 3.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Fig. 4.

Fig. 4.
Banner for the hearing held at October 26, 2022 during the Joint Fall Meeting of Korean Geological Societies.

Table 1.

Etymology of geologic time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 and transliteration/transcription. In case that the etymology consists of two or more words, the word used for translation and transliteration/transcription is depicted in bold.